어젯밤 강릉에서 최저 기온이 30도를 넘는 '초열대야' 현상이 지난해보다 12일 빨리 관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열대야도 지난해보다 엿새 빨랐는데, 기온이 더 높은 초열대야마저 당겨지면서, 잠 못 드는 여름밤이 길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밤사이 강릉에서는 최저기온이 30.3도를 기록하면서 올해 첫 '초열대야'가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보다 12일이나 빨리 초열대야가 찾아온 겁니다. <br /> <br />[허현수 / 강릉시 교동 : 너무 더워서 잠을 못 자겠더라고요.] <br /> <br />[주은미 / 강릉시 홍제동 : 창문도 다 열어놓고 있는데도 너무 더워서 잠을 잘 수가 없었어요. 막 끈적거려서.] <br /> <br />낮 동안 달궈진 열기가 식지 않아 서울과 제주 등 전국 25곳에서 열대야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9시까지 최저 기온이 30도를 넘으면 초열대야, 25도 이상이면 '열대야'인데, 기상청은 초열대야를 공식적인 용어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[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'초열대야'라는 용어를 일본에서는 쓰는데 우리나라는 굉장히 드물게 나타나는 현상이라 공식적으로 쓰지 않았습니다. 이번에는 강릉에서만 나타났지만, 기후변화로 기온이 점점 높아지면서 8월에는 전국적으로도 어색하지 않은 현상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태백산맥의 영향으로 열대야는 강릉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, 초열대야는 관측이 시작된 지난 1911년 이후 총 12차례 관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1942년 7월에 31.1도로 처음 나타난 뒤 2008년에 한 번 발생하더니 2010년 이후에는 무려 10번이나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최근에는 지난 2022년과 지난해에 이어 3년 연속으로 관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에서는 지난 2018년 여름 초열대야가 처음 관측됐는데, 본격적인 무더위로 폭염이 이어질 경우 다시 초열대야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릉에서 지난달 11일 올해 첫 열대야가 지난해보다 엿새 빨리 나타난 데 이어 지난달 21일 발생한 서울의 첫 열대야도 역대 가장 빨랐습니다. <br /> <br />3년 연속 6월 열대야가 일상이 된 가운데, 초열대야 현상마저 점점 빨라지면서 잠 못 드는 여름밤이 점점 더 길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김동철 <br />영상편집 : 김현준 <br />디자인 : 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72219084871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